📝101개국 60년치 통계로 밝혀진 ‘콩=장수의 원천’ : 네이트 뉴스

  • 이 주제에는 0개 답변, 1명 참여가 있으며 hlife4월 전에 전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했습니다.
  • 콩을 비롯한 식물성 단백질이 ‘블루존’ 주민들의 장수 비결로 나타났다. [사진=AI 이용해 생성]

    콩은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 식품으로, 세계적으로 최고의 건강식품 중 하나로 꾸준히 주목받아 왔다. 그런데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100여개 국가의 60년치 식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두부, 병아리콩 등 콩 관련 식품 섭취가 수명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장수의 비결이 콩에 있다는 분석인 셈이다.

    호주 시드니대 찰스퍼킨스센터 연구팀은 병아리콩, 두부, 완두콩과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더 많이 섭취하는 지역이 더 긴 기대수명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T)가 집계한 101개 국의 1961~2018년 식량공급 및 인구 통계 데이터를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에 따르면 각국의 경제 수준, 인구 규모 등을 반영해 조정한 후에도 전반적으로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높은 국가일수록 성인 기대수명이 더 길었다. 반대로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높으면 5세 미만의 유아 사망률이 감소했다. 기대 수명은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를 가리킨다.

    동물성 단백질, 그중에서도 가공육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 2형 당뇨병, 특정 암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은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알려진 사실이다. 반면, 콩류, 견과류, 통곡물 등 식물성 단백질은 만성 질환 위험과 사망률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장수하는 사람들이 많은 지역을 가리키는 이른바 ‘블루존(Blue Zone)’에서도 식물성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확인됐다. 블루존으로 유명한 일본 오키나와, 그리스 이카리아, 미국 캘리포니아 로마린다와 같은 지역 주민들은 단백질 섭취에서 식물성 단백질 비중이 높았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케이틀린 앤드류스 연구원은 “육류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의 건강 효과를 비교했을 때 연령대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며, “유아기에는 동물성 단백질이 사망률 감소에 기여하지만, 성인기에는 식물성 단백질이 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앨리스테어 시니어 박사는 “단백질은 우리 식단의 필수 요소지만, 어떤 공급원에서 얻는지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식물성 단백질과 장수의 연관성은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식단 변화를 통한 환경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육류 생산은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식물성 단백질 위주의 식단은 지구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데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김다정 기자 (2426w@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자료링크 link

    답변
'📝101개국 60년치 통계로 밝혀진 ‘콩=장수의 원천’ : 네이트 뉴스'에 답변달기
글쓴이 정보:



*비밀번호 설정시 수정 및 삭제가능 / 미등록시 수정삭제 불가!


글을 수정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필수)